Public Relations

Microbiome Industry

게시물 상세
CJ바사, 마이크로바이옴 '장-TME 축' 연구 "AACR 발표"
biome (noreply@web2002.co.kr) 2024.03.25 81

http://www.biospectator.com/view/news_view.php?varAtcId=21390

 

CJ바사, 마이크로바이옴 '장-TME 축' 연구 "AACR 발표"

기사입력 : 2024-03-25 10:14|수정 : 2024-03-25 10:14

 

바이오스펙테이터 노신영 기자


[AACR 2024 초록]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‘CJRB-101’, '장-종양미세환경(GUT-TME axis)'서 면역세포, 면역신호 변화 연구결과 발표

원본보기

CJ바이오사이언스(CJ Bioscience)가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‘CJRB-101’의 장-종양미세환경 축(GUT-TME axis)과 관련된 항암면역 반응 메커니즘 연구결과를 다음달 9일 미국 암연구학회(AACR 2024)에서 발표한다.


CJRB-101은 CJ바이오의 리드 항암제 에셋으로, 초기 440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면역반응 활성화, PD-1 항체와의 병용효과 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해 확보한 단일균주 약물이다.


CJ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AACR 2023에서 CJRB-101의 작용기전(MoA)을 확인한 전임상 결과를 발표한데 이어 이번에 후속 연구결과를 발표하게 됐다. 당시 발표에 따르면 NSCLC 환자의 암세포를 이식한 PD-1 저항성(resistant) 마우스 모델(PDX)에서 CJRB-101 단일요법, CJRB-101+키트루다 병용요법은 종양성장 억제효과를 보였다.


이번 연구는 CJRB-101이 장에서부터 TME로 어떻게 항암효능을 유도하는 것인지(Gut-TME axis) 알아보기 위해, CJRB-101 투여 후 항암 관련 면역세포들의 변화를 확인했다. PDX에 CJRB-101 단일 또는 CJRB-101과 PD-1을 병용투여한 뒤 해당 마우스 모델의 종양미세환경(TME) 변화를 다중 면역조직화학염색(multiplex IHC), 유세포 분석(Flow cytometry), 단일세포 RNA시퀀싱(scRNA-seq) 등을 통해 분석했다.


추가 연구결과에서 CJRB-101와 NK세포 활성화, 혈관형성(angiogenesis) 억제 간 상관관계를 확인했다. 우선 CJRB-101 투여모델은 NK세포와 NKT(natural killer T) 세포가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분비하는 그랜자임B(Granzyme B, GZMB), 인터페론 감마(interferon gamma, IFNG) 유전자 발현이 대조군(vehicle)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다. 또한 CJRB-101 투여군은 항혈관형성(anti-angiogenic) IL1B 유전자 발현이 높았으며, 혈관형성을 촉진하는(pro-angiogenic) VEGFA 유전자 발현은 낮았다.


CJRB-101 투여에 따른 장내 면역세포 변화도 확인됐다. CJRB-101를 투여받은 모델의 장내 대식세포(Macrophages)는 실험 3일차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며, 실험 10일차에 NK세포, 과립구(granulocyte), CD3+, CD4+, CD8+T세포가 증가했다.


CJ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발표에서 외부 병원체, 특히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외막(outer membrane) 구성요소인 LPS(lipopolysaccharide)를 인식해 체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TLR4(Toll-like receptor 4) 메커니즘과 CJRB-101 세포 또는 CJRB-101 세포 표면이 항암효능과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.


그 결과 CJRB-101 세포표면이 골수 유래 대식세포(BMDM)의 M1 분극화(polarization)와, M2 대식세포를 M1 대식세포로 재분극(repolarization) 시키는데 핵심 역할을 하며, TLR4의 억제가 BMDM의 재분극을 감소시켰음을 확인했다.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RB-101의 세포막 단일과 세포막+TLR4 저해제(inhibitor) ‘TAK-242’ 병용요법 간 종양성장억제(TGI) 효과를 비교했을 때, TGI 효능이 34%에서 20%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.


현재 CJ바이오사이언스는 진행성 NSCLC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1상을 진행중이다. CJ바이오사이언스는 임상2상을 내년 상반기에 시작할 계획이다.


노신영 기자 shinyoung.roh@bios.co.kr

 

 

 

Attachment

Prev 이뮤노바이옴, 프로바이오틱스 ‘복합균주’ 항염증 “논문”
Next 마이크로바이오틱스-레고켐, '항생제' 공동개발 계약
검색 닫기